다른 한편으로 계몽되어야 할 이 미개한 동양은 서양이 이해하기 어려운 뭔가 신비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오리엔탈리즘의 또 다른 얼굴이다. 이를 나는 '신비적 오리엔탈리즘'이라고 정의한다.

(...)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푸치니의 나비부인이다. 그녀는 예쁘다. 또 청순하고 가련하다. 뿐만 아니라 잠자리에서는 더욱 매력적이다. 아, 그 나비부인을 어찌 사랑하지 않으랴. 그러나 그런 일본 여자는 없다.

(...) 그 순종적인 여인을 동양 남자는 아주 못된 권위적이고 봉건적인 태도로 억압하고 무시한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서양 남자들은 이 불쌍한 동양 여자를 폭압적인 동양 남자의 손길에서 구원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는 듯하다. 이는 지금도 변함없는 아주 전형적인 동양에 대한 스토리텔링 방식이다.

(...) 동양, 특히 일본은 이 일방적 오리엔탈리즘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이용할 줄 알았다. 서양이 원하는 동양을 자발적으로 생산해주고, 그 유리한 결과를 취하는 문화 전략을 개발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인들이 감동하는 일본 문화의 내용들은 대부분 이 자발적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다.

(...) '자발적 오리엔탈리즘'은 일본만의 현상이 아니다. 한국에서도 아주 쉽게 발견된다. 예를 들면 국제영화제 수상을 목표로 하는 영화들이다. 임권택, 김기덕 감독의 영화가 우리에게 낯선 이유는 신비적 오리엔탈리즘의 이미지에 조응하는 자발적 오리엔탈리즘이기 때문이다. (강수연의 '씨받이'에 대해) 한국 문화의 미학적 측면을 구현한 영화가 드디어 세계무대에서 제대로 평가받았다고 사람들은 흥분했다. 하지만 그 영화에서 강수연이 내던 그 신음소리는 한국적 미학하고는 많은 거리가 있었다. 그 영화에서 묘사된 한국 남자들은 정말 나쁜 놈들이다. 서양이 보고 싶은 대로 보여준 것이다. <씨받이>의 성공 이후, '국제영화제 출품작을 목표로 만든 영화'들은 모두 비슷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해외에 자신의 관객이 있다는 것이 그리 자랑할 일이 아닌 것을 왜들 모를까?


김정운, 『일본 열광』, pp. 8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