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Page 66
Merom CPU 구입가이드. 요나노트북에 메롬을 달아보자
출처 : http://bbs.danawa.com/view.php?nSeq=29189&nSiteC=5&nGroup=7&nBlogCateSeq1=414&nPage=1
요나노트북에서 메롬 사용가능
Core 2 Duo의 일반 데스크탑용 제품들( 코드네임 콘로)은 지난 7월 27일 정식 출시와 함게 활발히 판매 되고 있다. Core 2 Duo의 Mobile 버전은 요나의 후속 모델인 메롬(Merom)이다. Core 2 Dou Mobile 제품인 코어명 메롬(Merom)은 제품명이 T5XXX, T7XXX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요나 노트북을 구입해 왔는데, 9월경부터는 메롬 노트북을 주로 구입하게 될 것이다.
MoDT는 왜 쓰나?
메롬 CPU는 노트북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요즘 뜨고 있는 MoDT(Mobile on Desktop)에서도 인기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MoDT는 모바일 CPU를 데스크탑에 쓰는 것인데, 발열이 적고 전기를 적게 먹고 소음이 적어 인기가 높다. 무엇보다 초소형 PC를 만들 수 있어서 튜닝 매니아들에게 인기가 높다. PC방에서 메롬으로 PC를 마련할 경우 한달 전기세를 최대 30만원정도까지 절약할 수 있어서 메롬PC로 바꾸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인텔의 최신 모바일 CPU. Merom > |
![]() |
<인텔, 2006년 모바일 CPU 로드맵>
Core Duo(요나)의 진화된 버전인 Core 2 Duo Mobile CPU 메롬(Merom)의 최대 이슈는 64비트 지원과 나파 플랫폼(Napa) 기반의 945 칩셋을 그대로 사용하는 호환성 연장 이라는 2가지 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요나를 쓰고 있는 사용자는 대부분 Core 2 Duo Mobile CPU인 메롬(Merom)으로의 자연스러운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이는 노트북, MoDT용 메인보드 모두에 해당되며, Core Duo(요나) 기반의 CPU제품과 2006년 하반기에 투입되는 Core 2 Duo Mobile(메롬) 제품은 제품의 특징들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를 준비하는 메인보드, 노트북 업체들은 간단히 Core 2 Duo Mobile(메롬) CPU 마이크로 업데이트 정보만 Bios에 업데이트 해주기만 하면 되게 되어 있다.
![]() |
코어 마이크로 아키텍처
인텔 코어 마이크로 아키텍처의 주요 특징
- Wide Dynamic Execution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가 14단계의 스테이지 단계 때문에 클럭은 높일 수 있지만 IPC를 상승시킬 수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인텔은 IPC를 상승시키는 또 다른 방법을 선보였다. 그것은 바로 종전까지 3개였던 파이프라인을 4개로 확장시킨 것이었다. 그래서 스테이지 단계 상승으로 인해 줄어들었던 IPC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이는 기존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의 가늘고 길었던 스테이지 단계를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의 짧고 굵은 스테이지 단계로 바꾼 것이다. 마치 혼잡하던 3차선 도로를 4차선으로 늘려 교통을 보다 원활하게 한 것과 같은 효과라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기존 3개의 파이프라인에 비해 약 33% 정도의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Advanced Smart Cache
PC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CPU보다 속도도 떨어지는 메모리의 속도를 향상 시켜야한다. 그래서 L2 캐시가 존재하는 것이고, 이를 활용해 데이터 이동 시간을 단축시켜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이끌어 냈다. 하지만 이전까지의 듀얼 코어 CPU는 코어당 L2 캐시를 개별적으로 저장해야만 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일을 실행하게 되더라도 동일한 데이터를 각각의 L2 캐시에 저장을 해야만 했기 때문에 캐시의 낭비를 가져왔다. 하지만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부터 야심차게 발표한 스마트 캐시에서는 이러한 낭비를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각 코어에 할당되었던 L2캐시가 통합이 되었기 때문이다. 각각 저장했던 데이터를 이제는 하나만 저장하면 된다. 따라서 캐시를 좀 더 아까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캐시의 장점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하나로 통합된 스마트 캐시를 사용하게 되면 L2 캐시의 작업 공간을 좀 더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 Smart Memory Access
CPU의 성능을 본다면 굉장히 빠른 시스템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CPU의 성능일 뿐이지 전반적인 성능은 되지 못한다. 그것은 PC내부에 있는 메모리나 하드디스크가 CPU의 성능을 따라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CPU 제조업체에서는 메모리나 하드디스크와의 접속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대기 시간을 줄이게 되면 그만큼의 성능 향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번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에는 이러한 메모리와의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 메모리 액세스 기술을 도입했다. 이는 저장 기능을 진행하기 전 로딩 작업을 먼저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미리 로딩을 완료해 프로세서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작업시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PC 성능의 원동력인 프로세서를 좀 더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 Advanced Digital Media Boost
와이드 다이나믹 실행이 IPC를 상승시키기 위한 기술이었다면 디지털 미디어 부스트는 SSE(Streaming SIMD Extensions)를 증진시키는 기술이다. 기존까지는 128비트 SSE 명령어를 64비트 단위로 나눠 처리한 후 다시 128비트 SSE로 합쳐야 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128비트 명령어 하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클럭 사이클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 부스트는 128비트 SSE를 한 번의 사이클에서 완벽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그래픽작업이나 오디오 작업 같은 멀티미디어 작업을 했을 때 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제야 반쪽짜리가 아닌 완전한 128비트 SSE를 쓸 수 있게 되었다. - Intelligent Power Capability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의 혁신적인 기술 가운데 하나인 인텔리전트 파워 성능은 CPU의 쓸데없는 부분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기술이다. 어찌보면 인텔리전트 파워 성능을 현재 사용 중인 AMD의 쿨엔콰이어트(CoolnQuiet)나 인텔의 스피드스텝(Speed-Step)과 비슷한 기술로 착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전력소모를 줄이는 기술이라는 것만 같은 뿐 기술적으로는 전혀 다르다.
AMD의 쿨엔콰이어트나 인텔의 스피드스텝의 경우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클럭으로 낮춰 전력의 소모를 줄인다. 하지만 인텔리전트 파워 성능은 CPU의 성능은 그대로 두고 CPU 내에 일부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전력을 차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는 방식이다. 이를 이용하는 메롬(Merom)을 장착한 노트북의 경우 배터리 사용시간이 대폭 늘어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30~40%가량 배터리 사용시간이 증가한다고 한다.
Core 2 Duo Mobile T7400(B1 Steeping)을 기반으로 가벼운 사용정보와 동작상태, 사용준비등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 |
![]() |
액세서리로 노트북 두 배 재미있어진다
출처 : http://bbs.danawa.com/view.php?nSeq=29726&nSiteC=5&nGroup=7&nBlogCateSeq1=414
요즘 노트북은 그 자체로도 특별히 부족한 것 없을 만큼 잘 갖추어져 있지만 공간의 제약 때문에 썩 좋은 것만 들어있지는 않다. 100만원 넘게 주고 산 노트북, 액세서리 한 두 개로 더 편하고 재미있게 쓸 수 있다면 무엇을 망설이는가? 노트북과 찰떡궁합인 액세서리를 한데 모았다.
데스크탑 PC 부럽지 않아
무선 키보드/마우스
데스크탑 PC를 따로 두지 않았다면 아무래도 노트북을 사고 가장 먼저 손길이 닿는 곳이 키보드와 마우스일 것이다. 작은 노트북에 이것저것 우겨넣다 보니 키보드의 배열이 어색하고 마우스 대신 달려 있는 터치 패드로 게임은 꿈도 꾸기 어렵다. USB로 쓰던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법이지만 무선 환경의 노트북을 좀 더 폼 나게 써보자.
최근 노트북에도 블루투스가 하나둘 자리잡고 있다. 블루투스 입력 장치는 RF 방식보다 반응 속도가 빠르고 최고 10m까지 떨어져서도 쓸 수 있다. 노트북에 블루투스가 달려 있다면 거추장스러운 수신기 없이도 키보드, 마우스를 바로 붙일 수 있는 것이 장점!
<로지텍 무선 데스크탑 MX5000 레이저> 블루투스로 연결하는 키보드 마우스 세트다. 키보드에 작은 LCD를 달아 키보드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은 물론 새로 온 e메일이나 날짜, 시간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블루투스를 이용해 PC에 기록한 일정과 연락처 등을 한방에 휴대폰으로 보내주는 재주도 눈길을 끈다. 마우스는 충전식이로 레이저로 위치를 잡아내기 때문에 정확하고 반응이 좋다.
소리 빵빵, 재미 빵빵
스피커
노트북 치고 스피커가 안 달린 것은 없지만 사실 경고음 정도를 들려주는 데 그칠 뿐 음질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기는 곤란하다. 영화나 음악, 게임을 많이 즐긴다면 스피커를 빼놓을 수 없다. 스피커는 조금만 투자하면 가장 재미를 볼 수 있는 액세서리이기도 하다. 복잡한 선 정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밖에서도 쓸 수 있도록 전원을 USB에서 뽑는 스피커도 있다.
![]() |
<브리츠의 BR-2000M> 작지만 탄탄한 소리를 내는 스피커다. 크기가 작아 노트북과 잘 어울리고 피아노 코팅을 여러 번 덧씌워 번쩍이는 것이 멋있다. 전원은 어댑터로 연결하지만 USB로도 받을 수 있어 선 정리가 쉽고, 휴대도 할 수 있다.
선에서 탈출하자
블루투스 헤드셋
스카이프를 비롯해 네이버, 네이트온 등 인터넷 전화가 속속 서비스를 이어가며 인기를 얻고 있다. 국제 전화를 싸게 걸 수 있고 PC끼리는 통화료가 공짜여서다. 노트북에는 기본으로 마이크가 붙어 있어 스피커폰처럼 통화할 수 있지만 소리가 울려서 통화하기에는 좋지 않다.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면 마치 휴대폰으로 통화하듯이 깨끗하게 통화할 수 있다. 스테레오 헤드셋이라면 무선으로 음악도 들을 수 있으니 금상첨화다. 블루투스 휴대폰까지 갖고 있다면 무얼 망설이겠는가?
<퓨전 에프앤씨 BT-55D> 퓨전에프앤씨가 들여와 파는 아베 BT-55D는 블루투스로 연결하는 스테레오 헤드셋이다. 블루투스 모듈만 있으면 휴대폰, 노트북 등과 연결할 수 있다. 스테레오 음악을 듣고 마이크가 달려 있어 전화 통화도 한다. 충전지가 들어 있어 한번 충전하면 10시간 가량 쓸 수 있다. 다나와 최저가는 5만5000원이다.
전기 걱정 끝!
차량용 인버터
PC가 자리 잡을 곳으로 자동차가 꾸준히 물망에 오르고 있다. 그동안 카 PC에 많은 시도가 있어왔지만 지금 현실적으로 가장 손쉽게 자동차 안에서 PC를 쓸 방법은 노트북이다. 하지만 전원이 문제다. 인버터를 이용하면 자동차에서 나오는 전원을 노트북에 맞는 전압으로 바꾸어준다. 노트북으로 내비게이션 등을 꾸미려는 이들에게는 딱이다.
![]() |
차량용 노트북 충전기 제품은 자동차의 시거 잭의 전원으로 노트북을 충전 할 수 있는 제품으로 5000mA의 전원을 공급해 . 이 제품들은 고가의 노트북을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각각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방식과 PWM 제어 방식으로 노트북에 일정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다양한 노트북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8가지의 전원 연결잭을 넣었고 전압도 15V에서 24V까지 직접 조절할 수 있다. 과부하 방지 휴즈로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였고 별도 휴즈를 한 개 더 끼워준다.
뼈속까지 시원한 노트북
쿨링 패드
노트북에서는 적지 않은 열이 난다. 노트북이 얇아지면서 CPU, 하드디스크, ODD에서 나는 열이 고스란히 손으로 전해져 땀이 나게 마련이다. 이럴 때 노트북 아래에 쿨링 패드를 받쳐 두면 시원한 바람을 노트북 바닥에 불어주어 열을 식힌다. 더운 여름 뿐 아니라 오랫동안 켜두는 노트북이라면 일년 내내 꼭 필요한 액세서리다. 노트북을 살짝 기울여주는 역할도 해 키보드를 두드리기 좋아진다.


<리안리 NC-01 블랙> 리안리의 쿨링 패드다. 전체적으로 열을 잘 전달하는 알루미늄을 썼고 70mm 쿨러로 노트북을 식힌다. 손목 받침대는 부드러운 가죽으로 덮었고 문서를 꽂아놓을 수 있는 클립도 있다.
노트북, 잠깐 떨어져 있어도 됩니다
도난 방지 장치
노트북과 무선랜이 흔해지면서 요즘 도서관에는 노트북으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바로바로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고 동영상 강의, 음악 등 못하는 게 없으니 여러 모로 쓸모가 있다. 하지만 화장실이라도 다녀오려면, 급한 전화가 걸려오면 노트북을 갖고 나갈 수도 없고 놓고 나갈 수도 없는 애매한 상황에 놓이게 마련이다.
이럴 때 도난 방지 장치를 걸어두면 안심이다. 단단한 쇠줄로 노트북을 책상에 묶어두는 것이 가장 흔한 방식이고 누군가 노트북을 훔쳐가려고 움직이면 앵앵 울어대는 것도 있다.
<타거스 데프콘 CL> 비밀 번호로 잠그는 방식이다. 비밀 번호를 네 자리로 정할 수 있어 암호를 찍어서 맞추기 쉽지 않고 선이 두께 4mm로 튼튼해 여간해서 잘라낼 수 없다. 다나와 최저가 4만2000원.
내 노트북은 소중하니까요~
노트북 보호 필름
전자 제품을 처음 샀을 때는 어디 긁히기라도 할까, 먼지라도 앉을까 조마조마하게 마련이다. 그렇다고 처음 붙어 있던 비닐을 떼지 않을 수도 없는 일이다. 예민한 노트북이지만 항상 손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여기저기 긁히고 과자, 음료수 등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위험한 것이 사실이다.
간혹 마스킹 테입 등을 직접 잘라 붙이기도 하지만 오래 가지 않고 번쩍이기까지 해 불편하다. 상판, 키보드, LCD 등을 덮어주는 보호 필름을 덮어 소중한 노트북을 보호하자.

<퓨어 플레이트/스킨/가드> AGF사는 노트북의 LCD를 보호하는 퓨어 플레이트로 잘 알려져 있다. 반사가 적고 색을 잘 살려주는 것이 인기 비결이다. 이것 뿐 아니라 키보드를 덮는 퓨어 스킨도 내놓고 있다. 저마다 다른 노트북 키보드지만 많이 팔리는 제품에 꼭 맞춘 것을 마련해 두었고 어떤 노트북에도 맞출 수 있도록 자유형도 판다. 겉이 상하지 않도록 상판에 씌우는 퓨어 가드도 눈길을 끈다. 마치 원래 덮개인 것처럼 매끈하게 붙어 긁히고 까지는 것을 막아준다.
다나와 최호섭 기자 notebook@danawa.com
기자 블로그 http://blog.danawa.com/hs_choi
Poincaré Conjecture Proved
By Eric W. Weisstein
April 15–Russian mathematician Dr. Grigori (Grisha) Perelman of the Steklov Institute of Mathematics (part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in St. Petersburg) gave a series of public lectures at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ast week. These lectures, entitled “Ricci Flow and Geometrization of Three-Manifolds,” were presented as part of the Simons Lecture Series at the MIT Department of Mathematics on April 7, 9, and 11. The lectures constituted Perelman’s first public discussion of the important mathematical results contained in two preprints, one published in November of last year and the other only last month.
Perelman, who is a well-respected differential geometer, is regarded in the mathematical community as an expert on Ricci flows, which are a technical mathematical construct related to the curvatures of smooth surfaces. Perelman’s results are clothed in the parlance of a professional mathematician, in this case using the mathematical dialect of abstract differential geometry. In an unusally explicit statement, Perleman (2003) actually begins his second preprint with the note, “This is a technical paper, which is the continuation of [Perelman 2002].” As a consequence, Perelman’s results are not easily accessible to laypeople. The fact that Perelman’s preprints are intended only for professional mathematicians is also underscored by the complete absence of a single reference to Poincaré in either paper and by the presence of only a single reference to Thurston’s conjecture.
Stripped of their technical detail, Perelman’s results appear to prove a very deep theorem in mathematics known as Thurston’s geometrization conjecture. Thurston’s conjecture has to do with geometric structures on mathematical objects known as manifolds, and is an extension of the famous Poincaré conjecture. Since Poincaré’s conjecture is a special case of Thurston’s conjecture, a proof of the latter immediately establishes the former.
In the form originally proposed by Henri Poincaré in 1904 (Poincaré 1953, pp. 486 and 498), Poincaré’s conjecture stated that every closed simply connected three-manifold is homeomorphic to the three-sphere. Here, the three-sphere (in a topologist’s sense) is simply a generalization of the familiar two-dimensional sphere (i.e., the sphere embedded in usual three-dimensional space and having a two-dimensional surface) to one dimension higher. More colloquially, Poincaré conjectured that the three-sphere is the only possible type of bounded three-dimensional space that contains no holes. This conjecture was subsequently generalized to the conjecture that every compact n-manifold is homotopy-equivalent to the n-sphere if and only if it is homeomorphic to the n-sphere. The generalized statement is now known as the Poincaré conjecture, and it reduces to the original conjecture for n = 3.
The n = 1 case of the generalized conjecture is trivial, the n = 2 case is classical (and was known even to 19th century mathematicians), n = 3 has remained open up until now, n = 4 was proved by Freedman in 1982 (for which he was awarded the 1986 Fields Medal), n = 5 was proved by Zeeman in 1961, n = 6 was demonstrated by Stallings in 1962, and n >= 7 was established by Smale in 1961 (although Smale subsequently extended his proof to include all n >= 5).
Renewed interest in the Poincaré conjecture was kindled among the general public when the Clay Mathematics Institute included the conjecture on its list of million-dollar-prize problems.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Clay Institute, any purported proof must survive two years of academic scrutiny before the prize can be collected. A recent example of a proof that did not survive even this long was a five-page paper presented by M. J. Dunwoody in April 2002 (MathWorld news story, April 18, 2002), which was quickly found to be fundamentally flawed.
Almost exactly a year later, Perelman’s results appear to be much more robust. While it will be months before mathematicians can digest and verify the details of the proof, mathematicians familiar with Perelman’s work describe it as well thought out and expect that it will prove difficult to locate any significant mistakes.
from: http://www.mathworld.com





RSS

